HOME > 교수소개 > 교수별소개
교수소개
교수별소개
김민주 교수
최종학력행정학 박사(고려대학교 / 2012.02)
전공행정학
Tel031-839-9060
연구실동두천캠퍼스 교수연구동 310호
이메일minju0803@dyu.ac.kr
- 학력사항
-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부 행정학전공(행정학사)
-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(행정학석사)
-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(행정학박사)
- 연구분야(관심분야)
- 재무행정, 평가, 계량분석, 문화정책
- 주요경력
- 2013 - 현재: 동양대학교 교수
- 2024 - 현재: 경기북부병무지청 정책자문위원회 위원
- 2024 - 현재: 동두천시 정책자문위원회 위원
- 2023- 현재: 동두천시 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
- 2023- 현재: 동두천시의회 공무국외활동 심사위원회 위원
- 2023 - 2024: 동두천시 시설관리공단 설립 심의위원회 위원
- 2022 - 2023: 서울특별시 청년정책 평가위원장
- 2016 - 2021: 공공인재학부장
- 2021 - 2021: 한국행정학회 운영이사
- 2021 - 2022: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독학 행정학 분과위원회 위원
- 2021 - 2024: 동두천시 주요업무평가위원회 위원
- 2020 - 현재: 국회도서관 자료추천위원단 위원
- 2019 - 2020: 경인행정학회 연구위원회 위원, 위원장
- 2019 - 2023: 동두천시 예산성과금심사위원회 위원
- 2019 - 현재: 동두천시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 위원
- 2018 - 2020: 행정안전부 지방공기업 평가위원
- 2018 - 2018: 여성가족부 청소년정책 평가위원
- 2018 - 현재: 경기도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공적심사위원회 위원
- 2018 - 현재: 동두천시 지역사회보장 대표협의체 위원, 전문위원회 위원
- 2018 - 2020: 동두천시 인구정책위원회 위원
- 2017 - 2017: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총무위원회 위원
- 2017 - 2020: 동두천시 정보공개심의회 위원
- 2017 - 현재: 동두천시 재정운용심의위원회 위원
- 2017 - 2020: 동두천시 성별영향분석평가위원회 위원
- 2017 - 현재: 동두천시 노인복지관 운영위원회 위원
- 2016 - 2023: 동두천시 금고지정 심의위원회 위원
- 2014 - 2014: 한국지방공기업학회 총무기획이사
- 2014 - 2014: 국민권익위원회 고충민원처리실태 확인조사 심사위원
- 2012 - 2012: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선임연구원
- 연구논문
- 김민주(2024). 개념적 블렌딩을 활용한 행정 현상의 의미구성, <한국행정연구>, 33(2): 99-128.
- 김민주,서정재(2024). 남성육아휴직 경험자의 출산의향에 관한 분석, <미래사회>, 15(1): 51-71.
- 김민주(2023). 대규모 정부사업에 따른 마을소멸 위기와 그 역설, <지방행정연구>, 37(1): 343-374.
- 김민주(2023). 고령소비자의 디지털 활용 유형에 관한 분석: 퍼지집합이론의 적용, <소비자문제연구>, 54(2): 115-140.
- 김민주(2023). 공직자 노후에 대한 가족의 기대가 가족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, <미래사회>, 14(3): 64-84.
- 김민주(2022). 지방공기업 직원의 고객상황 이해와 고객응대에 관한 분석, <지방행정연구>, 36(4): 261-288.
- 김민주(2022). 고령자의 소비자피해 경험이 법제도 학습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, <소비자문제연구>, 53(3): 55-78.
- 김민주,정동연(2022). 도시철도 운영기관 직원의 고령층 고객에 대한 이미지 분석, <교통연구>, 29(3): 45-60.
- 윤태영,김민주(2022). 취약한 계약당사자 보호를 위한 민법상 과제, <민사법학>, 100: 243-272.
- 김민주,윤태영(2022). 후견제도에 나타난 정책대상자의 취약성과 피해경험, <한국행정연구>, 31(1): 101-122.
- 김민주(2022). 지방자치단체의 장소 기반 지역축제에 나타난 장소성 분석, <인문사회과학연구>, 23(1): 397-434.
- 김민주,한상연(2021). 에너지절약 기술을 활용한 공공주택 사업에 대한 인식 분석, <도시행정학보>, 34(2): 153-182.
- 김민주(2020). 민속문화에 나타난 관료 이미지 분석, <한국행정연구>, 29(3): 155-189.
- 김민주,한상연(2020). 지방자치단체 에너지절약형 주택단지 조성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분석, <지방행정연구>, 34(2): 239-268.
- 김민주(2019). 대규모 정부사업의 반복된 철회가 마을주민에게 미친 심적 영향 분석, <지방행정연구>, 33(4): 249-282.
- 김민주(2019). 지방자치단체의 장소자산과 도시이미지: 동두천에 나타난 장소상실의 역설, <인문사회과학연구>, 20(3): 371-412.
- 김민주(2018). 정권별 남북이산가족 교류의 유형 탐색, <인문사회과학연구>, 19(3): 363-401.
- 김민주,서송원(2018). 평생교육으로서 행정학 전공의 가능성 분석, <사회과학논집>, 49(1): 97-120.
- 김민주(2017). 예산배분 권력의 역전: 원조예산의 사례를 중심으로, <인문사회과학연구>, 18(3): 143-181.
- 김민주(2016). 시민과 정부는 어떤 이미지로 존재하고 있는가?, <한국행정연구>, 25(3): 1-32.
- 김유라.김광석.김민주(2016). 마을자치 사업에서 농촌현장포럼의 넛지 효과 분석, <한국행정연구>, 25(1): 25-47.
- 김민주.김유라(2016). 지방도시 이미지와 전통사상 간 상호의존성 분석, <한국선비연구>, 4: 209-232.
- 김민주(2015). 공유자산의 자치적 관리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, <한국행정학보>, 49(3): 51-77.
- 김민주(2015). 문화정책의 이론적 논거와 유형, <사회과학연구>, 31(3): 133-157.
- 김민주(2014). 복지정책 담당의 여성적 특성화에 관한 원인 분석, <국가정책연구>, 28(1): 73-101.
- 김민주(2014). 정책평가의 방법론으로서 퍼지집합이론의 적용 가능성: 반부패성과 사례를 중심으로, <한국사회와 행정연구>, 24(4): 313-338.
- 김민주(2013). 한국행정의 ‘전통’ 만들기: 하나의 소재로서 원조활동과 그것의 역설, <한국행정연구>, 22(3): 1-27.
- 김민주(2012). 대북지원 NGO 활동의 성장과 정부 재정지원의 상대적 중요도, <한국행정연구>, 21(1): 73-94.
- 김민주(2011). 원조수혜국의 거버넌스: 원조수혜를 위한 이행조건인가? 선택조건인가?, <한국행정학보>, 45(4): 253-281.
- Kim, Min Ju(2011). The Combinations of Causal Factors for South Korean Local Government Aid Activities to North Korea.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Wester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.
- 김민주(2011). 정부의 문화원형 구축정책: 문화원형개념 구분과 정책사례를 중심으로, <한국사회와 행정연구>, 21(4): 397-427.
- 김민주(2010). 공공문화기관의 예산효율성 측정과 평가: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, <한국사회와 행정연구>, 21(3): 77-101.
- 김민주(2010). 저출산 유인요소와 대응정책에 관한 분석, <한국정책학회보>, 19(2): 105-128.
- 김민주(2009). 주민자치센터의 운영효율성 비교분석: 효율성 점수와 효율적 프론티어를 중심으로, <정책분석평가학회보>, 19(4): 209-231.
- 김민주(2009). 쓰레기종량제의 봉투 가격인상이 쓰레기발생량 및 재활용품 수거량에 미치는 효과분석, <한국정책학회보>, 18(3): 311-330.
- 김민주·윤성식(2009). 우리나라 지방채발행변화에 대한 신제도론적 분석, <한국지방자치학회보>, 21(2): 79-99.
- 저서
- 김민주(2023). <관료의 언어와 이미지 생산>, 박영사.→교육부(한국연구재단) 지원도서
- 김민주(2022). <면접지배사회에서 살아가기>, 윤성사.
- 김민주(2021). <자치와 보이지 않는 권력>, 박영사.→교육부(한국연구재단) 지원도서
- 김민주(2021). <행정계량분석론: 통계분석의 기초, 응용, 실습>, 제2판, 대영문화사.
- 김민주(2020). <호모 이밸루쿠스: 평가지배사회를 살아가는 시험 인간>, 지식의날개.→2021년 세종도서로 선정
- 김민주(2019). <재무행정학>, 박영사.
- 김민주(2019). <공공관리학>, 박영사.
- 김민주(2018). <시민의 얼굴 정부의 얼굴>, 박영사.
- 김민주(2017). <정부는 어떤 곳인가: 행정학의 이해와 활용>, 대영문화사.
- 김민주(2016). <평가지배사회>, 커뮤니케이션북스.
- 김민주.윤성식(2016). <문화정책과 경영>, 박영사.→2017년 세종도서로 선정
- 김민주(2015). <행정계량분석론: 통계분석의 기초, 응용, 실습>, 대영문화사.
- 김민주(2014). <원조예산의 패턴: 원조를 위한 돈은 어떻게 변화해 왔는가>,한국학술정보.→2015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
- 연구과제
-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, SSK사업 선정(공동) 2단계, 2024-2027.
-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, SSK사업 선정(공동) 1단계, 2021-2024.
-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, 저술출판지원사업 선정(단독), 2021-2023.
-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, 저술출판지원사업 선정(단독), 2018-2020.
-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, 신진연구자지원사업 선정(단독), 2017-2018.
- 각종 외부 연구과제 책임 수행 및 공동연구로 참여, 중앙정부, 지방자치단체, 공공기관 등, 2015-현재.
정병걸 교수
전공조직이론/과학기술정책
Tel031)839-9059
연구실동두천캠퍼스 교수연구동 309호
이메일bkjung@dyu.ac.kr
- 학력사항
-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(행정학사)
-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(행정학석사)
- 고려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(행정학박사)
- 연구분야(관심분야)
- 공공조직, 과학기술/정보통신정책
- 주요경력
- 2000. 09 ~ 현 재 : 동양대학교 교수
- 2005. 07 ~ 2006. 08 :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장
- 2005. 10 ~ 2010. 09 : 영주시 인사위원회 인사위원
- 2005. 03 ~ 2007. 12 : 한국지역정보화학회 연구이사
- 2007. 01 ~ 2007. 12 : 한국정책학회 총무이사
- 2007. 01 ~ 2007. 12 : 한국정책과학학회 편집위원
- 2007. 03 ~ 2007. 05 : 정부업무평가 정보화부문 자체평가 확인점검단 확인점검 위원
- 2008. 03 ~ 2008. 05 : 정부업무평가 자체평가(조직관리/정보화) 확인점검단 확인점검 위원
- 2008. 01 ~ 2008. 12 :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편집이사
- 2008. 01 ~ 2008. 12 :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 편집위원
- 2008. 01 ~ 2008. 12 : 한국정책과학학회 총무이사
- 2008. 08 ~ 2011. 07 : 동양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소장
- 2008. 12 ~ 현재 : 산업기술혁신평가단 평가위원
- 2011. 01 ~ 2011. 12 : 한국지역정보화학회 섭외이사
- 2011. 01 ~ 2011. 12 : 한국행정학회 학술정보이사
- 2011. 01 ~ 2011. 12 : 한국정책학회 연구이사
- 2011. 01 ~ 2012. 12 : 한국조직학회 편집위원
- 2012. 01 ~ 2012. 12 : 정책과학학회 섭외이사
- 2012. 05 ~ 현재 : 한국정보사회학회 편집위원
- 2013. 11 ~ 2014. 01 : 국정과제평가단 민간전문가
- 2013. 11 ~ 현재 :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지원사업 평가위원
- 2014. 05 ~ 2014. 06 : ‘14 국정과제 성과지표 검토 TF 민간전문가
- 2014. 07 ~ 2016. 08 : 동양대학교기획조정실장
- 2015. 05 ~ 2015. 06 : ‘15 국정과제 성과지표 검토 TF 민간전문가
- 2015. 01 ~ 2015. 12 : 한국거버넌스학회 에너지위원회 위원
- 2015. 03 ~ 현재 : 자연재해예측 및 저감연구개발사업 평가위원
- 2015. 12 ~ 현재 : 제16전투비행단 민•관•군 갈등조정협의체 위원장
- 2016. 06 ~ 현재 : 동두천시 미래발전자문위원회 위원
- 연구논문
- 정병걸. (2017). 사회, 기술 시스템 전환 : 이론과 실천. [한울사]
- 정병걸. (2015). 이론과 실천으로서의 전환: 네덜란드의 전환이론과 전환정책. 「과학기술학연구」, 15(1): 109-143.
- 정병걸. (2014). 한국사회단체의 지형과 변화: 조직 활동, 자원과 영향력. 「한국조직학회보」, 11(3): 85-111.
- 정병걸. (2013). 기술위험과 혁신의 사회적 책임: 셧다운제와 탈추격형 혁신으로서 온라인게임. 「정보화정책」, 20(4): 71-88.
- 정병걸•성지은. (2013). 혁신정책의 전략성 제고를 위한 정책 인텔리전스 확보 방안. 「과학기술정책」, 192: 100-108.
- 정병걸•성지은•송위진. (2013). 플랫폼연구로서 기초의과학 육성과 과제. 「과학기술정책」, 192: 123-135.
- 정병걸•하민철. (2013). 공공조직의 경직성에 대한 재고찰. 「정부학연구」, 19(1): 33-62.
- 성지은•정병걸•송위진. (2012).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과 백캐스팅: 네덜란드의 지속가능한 교통·식품·가정 시스템 전환사례를 중심으로. 「과학기술학연구」, 12(2): 81-116.
- 정병걸•성지은. (2012). 과학기술정책조정과 합의제 행정위원회: 국과위와 주요 행정위원회의 비교와 함의. 「과학기술정책」, 22(4): 154-177.
- 정병걸. (2012). 고착화와 전환의 실패: 출연연 문제의 기원과 성격. 「국가정책연구」, 26(3): 5-25.
- 성지은•정병걸. (2011). 과학기술혁신거버넌스 담론과 비판적 검토. 「과학기술정책」, 21(3): 72-80.
- 정병걸. (2011). 조직군 밀도의 이중효과와 조직군의 위기: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의 성공과 실패. 「한국행정학보」, 45(3): 51-71.
- 정병걸•길종백. (2010). R&D 메가 프로젝트의 패러독스와 관리적 함의. 「행정논총」, 48(3): 251-273.
- 정병걸. (2010). 국가경쟁력과 구성된 위기: 몰락의 이야기로서의 '국가경쟁력 위기론'. 「정부학연구」. 16(2): 37-63.
- 정병걸. (2009). RFID의 프라이버시 침해 논쟁과 합의되지 않은 위험. 「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」, 12(4): 87-110.
- 길종백•정병걸•염재호. (2009). 정부출연연의 대리문제와 PBS의 한계. 「한국조직학회보」, 6(2): 179-202.
- 길종백•정병걸. (2009). 녹색성장과 환경ㆍ경제의 통합: 변형과 전환 사이에서. 「정부학연구」, 15(2): 45-70.
- 정병걸•성지은. (2008). 정치화된 위험과 기술위험 관리의 실패: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광우병 논란. 「과학기술학연구」, 8(2): 27-56.
- 정병걸. (2008). 기술위험 관리와 위험갈등: 휴대전화 전자파의 인체유해성 논란. 「과학기술학연구」, 8(1): 97-129.
- 정병걸•길종백. (2007). 국가혁신체제의 전환과 정부의 역할: 일본의 경험과 교훈. 「정부학연구」, 13(3): 5-34.
- 성지은•정병걸. (2007). 탈추격형 혁신체제에서의 기술 위험 관리. 「과학기술학연구」. 7(1): 33-66.
- 정병걸. (2007). 관료적 조직 경쟁과 기획의 과잉: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. 「한국거버넌스학회보」, 14(1): 65-86.
- 정병걸. (2006). 지역정보화의 딜레마: 지방정부 역량의 한계와 지역간 격차. 「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」, 9(2): 33-53.
- 명승환•정병걸•정진우•허철준. (2006). 행정정보 공동이용 유형에 따른 탄력적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. 「전자정부연구」, 1: 171-214.
- 정병걸. (2006). 정보통신기술의 확산과 선택에 의한 정보격차. 「과학기술학연구」, 6(2): 103-129.
- 정병걸. (2006). BPR과 지식관리의 확산: 누적적 확산 혹은 유행?. 「한국행정연구」, 15(3): 271-295.
- 정병걸. (2005). 조직 관리 기법의 유행과 부문간 이전: 공공 부문으로의 BPR 확산. 「한국행정학보」, 39(4): 63-79.
- 정병걸•김석주•명승환. (2005). 전자정부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와 영향요인: 5개 전자정부 서비스를 중심으로. 「정책분석평가학회보」, 15(3): 135-160.
- 정병걸•김석주•명승환. (2005). 전자정부 서비스의 이용에 관한 인식 연구. 「정보화 정책」, 12(2): 88-105. ▪ 정병걸•성지은. (2005). 과학기술과 상징정치: 참여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을 중심으로. 「한국정책과학학회보」, 9(1): 27-48.
- 정병걸. (2004). 지방분권과 전자정부: 교차점과 지향, 과제. 「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」, 7(2): 27-45.
- 정병걸. (2004). 동형화를 통한 정책이전과 공기업 민영화: 한국전력공사 민영화 사례를 중심으로. 「행정논총」, 42(4): 108-131.
- 정병걸•성지은. (2002). 한국의 사회단체와 영향력: 정책과정을 중심으로. 「아세아연구」, 109: 51-75.
- 정병걸. (2002). 정책실패와 조직의 대응: 정당성의 위기와 상징을 통한 비난관리. 「동양대학교 논문집」, 8(1): 325-346.
- 정병걸. (2001). 정부혁신과 신관리주의. 「동양대학교 논문집」, 7: 417-439.
- 이상팔•정병걸. (1999). 정책결정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의 역동적 인상관리 전략 분석: 영광군수의 영광원전 5․6호기 허가과정을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학보」, 33(3): 287-308
- 오광석•김석주•이향수•정병걸. (1998). 조달청의 조직 개선방안: 조직 분위기를 중심으로. 「한국행정연구」, 7(3): 130-152.
- 저서
- "추격형 혁신시스템을 진단한다: 한국 혁신시스템이 추구해야할 과제는 무엇인가?"(2013, 공저)
- 연구과제
- 식품의약품안전처 미래방향 설정을 위한 연구(2016, 식품의약품안전처)
-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정책의 글로벌 이슈 조사연구(2015, 과학기술정책연구원)
- 공공기관 보유기술의 상용화 제고를 위한 산학연 협력 방향: 특허기술상용화 특구(Patent Commercialization Zone)를 중심으로(2013-2014,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)
- 글로벌ICT R&D 인프라조성을 위한 연구기반조성 사업 추진 방향(2013, 정보통신산업진흥원)
- 사용자 수요 구체화를 위한 IT연구기반조성 기획연구(2012. 정보통신산업진흥원)
- 탈추격기 창의형 기술-사회시스템 모델 연구: 탈추격학(Post Catch-up)의 모색. (2011-2016, KAIST)
- 식품의약품 시험․연구․평가 미래전략 방안 연구(2010-2011,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)
- R&D 메가 프로젝트의 특성 및 효과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(2010,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)
- 식의약 안전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정책연구(2010, 식품의약품 안전청)
- 미래지향형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설계 및 개선방안(2010, 과학기술정책연구원)
- 사회적 목표지향적 혁신정책(2008, 과학기술정책연구원)
- 환경행정체제 발전방안연구. (2007-2008, 환경부)
- 탈추격형 혁신체제에서의 기술 위험 관리(2007, 과학기술정책연구원)
- 정보격차의 정치․경제․사회문화적 영향에 관한 연구(2007, 한국정보문화진흥원)
- 정부혁신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방안(2007, 행정자치부).
- 과학기술정책 분석에 있어서 위임자-대리인 이론(principal-agent theory)의 적용: 정책 문제로서의 위임 문제를 중심으로(2006, 과학기술정책연구원)
- 자원배분 지배구조: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을 중심으로(2006, 과학기술정책연구원)
- 국가우주개발의 효율적인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(2005, 과학기술정책연구원)
- 자율적 조직관리 성과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(2005, 행정자치부)
- 전자정부 고도화에 따른 종합적 전자정부 발전모델 및 수준진단 방법론 개발(2005, 한국전산원)
- 2단계 국민정보화교육 성과 및 향후 추진방향(2003, 한국정보문화진흥원)
-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실태 분석 및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(2003, 한국전산원)
-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 활성화 방안(2002,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)
-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및 정책과제 연구(2002, 정보통신부)
양승미 교수
최종학력법학박사 (이화여자대학교 / 2010. 02.)
전공행정법
Tel031)839-9061
연구실동두천캠퍼스 교수연구동 311호
이메일smyang@dyu.ac.kr, smy7527@naver.com
- 학력사항
- 이화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(법학사)
-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과(법학석사)
-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법학과(법학박사)
- 연구분야(관심분야)
- 행정법, 헌법, 지방자치법, 전자법, 복지법
- 주요경력
- 2021.03 ~ 현재 : 동양대학교 공공인재학부 학부장
- 2017.03~ 현재 : 동양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(동두천캠퍼스)
- 2011.09~ 2017.2 : 동양대학교 행정경찰학부, 경찰행정학과 교수 (영주 본교캠퍼스)
- * 5, 7, 9급 국가직, 지방직, 서울시, 경찰 공무원 시험출제, 면접위원
- 2025.3 ~ 현재 : 경기북부지방병무청 성희롱등 민원심의위원회 위원
- 2024.3 ~ 현재 : 동두천경찰서 징계심의위원회 위원
- 2023.5 ~ 현재 : 경기도 수자원관리위원회 심의위원
- 2022.5 ~ 현재 : 동두천시 정보공개심의위원회 위원
- 2022.4 ~현재 : 연천군의회 윤리자문심사위원회 위원
- 2022.3 ~현재 : 연천군의회 공동주택 심사위원회 위원
- 2022.1 ~현재 : 연천군의회 지방공무원인사위원회 위원
- 2021.11 ~ 현재 : 동두천시 예산성과금심사위원회 위원
- 2021.1 1~ 현재 : 동두천시 지방보조금심의위원회 위원
- 2022.1 ~현재 : 연천군의회 지방공무원인사위원회 위원
- 2021.4~ 현재 : 동두천시 예향장학기금 운용신의위원회 위원
- 2021.05 ~ 현재 : 동두천경찰서 경범죄심의위원회 위원
- 2019.11 ~ 현재 : 동두천시 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
- 2019.11 ~ 현재 : 동두천시 건강가정, 다문화 가족지원센터 심의위원회 위원
- 2018.03 ~ 현재 : 동두천시 정책실명제심의위원회 위원
- 2018.04 ~ 현재 : 경기북부지방경찰청 경찰개혁위원회 위원
- 2017.09 ~ 현재 : 동두천경찰서 자문위원
- 2017.03 ~ 2019 : 경기도 수자원관리위원회 심의위원
- 2016.04 ~ 2019 : 동두천시 인사위원회 심의위원
- 2012.12 ~ 현재 : 경북 토지수용위원회 심의위원
- 2013.11 ~ 2017.11 : 경북 정보공개심의위원회 심의위원
- 2013.11 ~ 2017.11 : 경북 3.0 민간자문단 자문위원
- 2014.01 ~ 현재 : (사)자치법연구원 이사
- 2013.08 ~ 현재 : (사)한국공법학회 상임이사
- 2013.01 ~ 2020 : (사)사회복지법제학회 이사
- 2011.01 ~ 2016 : (사)한국지방자치법학회 이사
- 연구논문
- 양승미, (2025) 지방자치단체 기관구성 형태 다양화를 대비한 법적 과제에 대한 소고, 「지방자치법연구」 통권 제86호 제25권 제2호
- 양승미, (2025) 사회복지사업법상의 보조금환수처분에 대한 몇 가지 쟁점에 대한 소고, 「사회복지법제연구」 제16권 제1호
- 양승미, (2024) 지역복지, 의료복지의 관점에서 본 간호법안 주요 쟁점에 관한 소고, 「사회복지법제연구」 제15권 제2호
- 양승미, (2022) 지방자치단체의 복지분야 자치입법에서 지방자율성 강화방안, 지방자치법연구 제22권 제4호
- 양승미, (2022) 노인복지법제의 개선방향에 대한 소고 -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, 사회복지법제연구 제13권 제3호
- 양승미, (2022) 북한이탈주민의 복지향상을 위한 법제 개선 연구 –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와 북한이탈주민법을 중심으로, 사회복지법제연구 제13권 제1호
- 양승미외, (2021) 온라인광고분쟁 입법방향에 대한 소고, 「법학논집」, 제26권 제3호, 이화여대 법학연구
- 양승미, (2021) 「도로교통법」의 ‘도로’등 개념에 대한 소고 – 판례를 중심으로, 「치안행정논집」제18권 제3호
- 양승미외, (2021) 학교폭력 분쟁해결을 위한 법제 개선방향 :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, 「법과인권교육연구」 제14권 제2호
- 양승미외, (2021) 아동기본법의 입법 방향 소고, 「사회복지법제연구」 제12권 제2호
- 양승미외, (2020) 노인학대 관련 제재조치 개선방안 –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적용 시설 및 관련 종사자에 대한 규정을 중심으로, 「사회복지법제연구」 제11권 제2호, 사회복지법제학회
- 양승미외, (2017) 지방자치와 기초교육자치 관계에 대한 연구, 「법학논집」, 제22권 제1호, 이화여대 법학연구소
- 양승미외, (2016) 당사자심판 도입에 관한 소고, 「법학논집」, 제21권 제2호, 이화여대 법학연구소
- 양승미외, (2016) 조례 정비 현황과 과제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49호
- 양승미외, (2015) 지방의회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법 개정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48호
- 양승미 (2015) FTA의 국내이행체계에 대한 소고 – 지방자치단체 관련 쟁점을 중심으로-, 「지방자치법연구」 통권 제45호
- 양승미 (2014) 조세쟁송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론: 행정소송법 개정(안)의 주요내용을 중심으로, 「행정법연구」 제39호
- 양승미 (2014) 환경규제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계에 대한 소고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41호
- 양승미외, (2013) 자치법규 관리체계 필요성 소고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38호
- 양승미 (2012)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치입법 강화를 위한 법적 쟁점 검토.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33호
- 양승미 (2011) 녹색성장 개별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소고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32호
- 양승미 (2010)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과 지방자치단체의 과제 - 사회복지서비스 신청권 판례를 중심으로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30호
- 양승미 (2010) 사회복지시설 관련 법령에 대한 소고 ,「행정법연구」, 통권 제26호
- 양승미 (2010) 자치입법권 신장의 과제 :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입법분담에서의 개선방안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25호
- 양승미외, (2009) 조례와 법률우위원칙에 대한 소고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23호
- 양승미외, (2009)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입법분담체계에 대한 연구, 「법학논집」, 제13권 제1호, 이화여대 법학연구소
- 양승미외, (2008) 국가입법과 자치입법과의 관계, 「행정법연구」, 통권 제22호
- 양승미외, (2008) 주민소송의 법적 성격, 「지방자치법연구」, 통권 제18호
- 양승미외, (2007) 프랑스, 미국에서의 행정행위 개념, 「행정법연구」, 제20호
- 양승미 (2007) 협의에 의한 규칙제정에 대한 고찰, 「분쟁해결법연구」, 제1호
- 연구과제
- 교육환경보호구역 연구 (교육환경보호원)(2022)
- 북한복지제도 연구 (통일부)(2021)
- 진주시 자치법규 연구 (진주시)(2021)
- 강동구 자치분권 확대 및 지방경쟁력 강화 연구(강동구)(2020)
- 김천시 정책입법 및 규제혁신을 위한 자치입법 개선에 관한 연구(김천시)(2020)
- 시설 내 노인학대 조사-판정 및 처분 절차 개선안 마련 연구(보건복지부)(2019)
- 서대문구 자치입법 개선방안 연구(서울 서대문구)(2019)
- 지방규제 개선을 위한 규칙 정비사항 발굴 및 정비방안 마련연구 (2018, 법제처, 책임연구자)
- 지방규제 개선을 위한 조례 정비사항 발굴 및 정비방안 마련연구 (2015, 2016, 2017, 법제처)
- 행정심판 결정례 연구 (2013-2015, 한국정보화진흥원)
- 기초단위 교육자치 확대방안 연구 (2015, 자치발전위원회)
- 당사자심판과 예방적 금지심판 도입에 대한 연구 (2015, 국민권익위원회)
- 지방자치법 개정현안 및 개정조문안 연구 (2015, (재)한국지방행정연구원)
- 전자문서 네거티브 규제개선 등 법제 정비방안 연구 (2014. 정보통신산업진흥원)
- 규제비용총량제 운영메뉴얼 및 비용분석 연구 (2013, 교육부)
- FTA 국내이행과 관련한 행정법적 검토 (2012-2013, 한국연구재단, 단독)
- 자치법규 선진화를 위한 개선도 측정 등과 정부지원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(2012, 법제처)
- 자치법규의 해석지원을 위한 법제처 의견제시의 제도화 방안 및 법령해석심의위원회의 기능재정립 (2011, 법제처)
- 지방자치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 연구-서울시를 중심으로 (2011, 서울시)
- 입양특례법 등 아동복지 관련 법제 정비방안 연구 (2011, 보건복지부)
- 장애인 인권증진 기본계획 수립연구 (2011, 서울시 복지재단)
- 정보통신분야 해외 개인정보 관련 법제도 비교 연구 (2010, 한국인터넷진흥원)
- 사회복지시설 다기능화 관련 법제 연구 (2010, 보건복지부)
- 전자거래기본법 개정안 연구 (2010, 정보통신산업진흥원)
-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따른 지방자치 관련 법률 개정 방안 연구 (2010, (재)한국지방행정연구원)
- 교원 징계 및 기타 불이익처분에 대한 교원소청심사결정 및 법원 판례 분석 연구 (2010, 교육부)
- 지방분권을 위한 법령사무 총조사 (2009, (재)한국지방행정연구원)
- 구미시 규제개혁 실천과제 발굴 프로젝트 (2009, 구미시청)
- 지역개발 관련 특별법에 관한 연구 (2008. 한국토지공사)
- 인터넷규제에 대한 법령 및 판례연구 (2008. 전자신문)
-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소송에 대한 소속 공무원의 직접 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(2007, 국회사무처)
- 지방의회 연수제도의 규범적 타당성 및 법적 개선방안 (2007, 국회사무처)
- 자치법규 개선 연구(2007, 양주시청)
김도헌 교수
최종학력문학 박사(부산대학교 / 2010.08)
전공고고학
연구실동두천캠퍼스 교수연구동 308호
이메일digguy99@dyu.ac.kr
- 학력사항
-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졸업
- 부산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(문학 석사)
- 부산대학교 고고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(문학 박사)
- 주요경력
- 1997. 12 - 2000. 05 : 국립김해박물관 학예연구원
- 2000. 06 - 2009. 02 : 울산문화재연구원 연구원 및 연구사(조사연구과 계장 및 과장 역임)
- 2004. 08 - 2005. 12 :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외래강사(겸임)
- 2007.08.01-2009.07.31 : 문화재청 동산문화재(고고분야) 감정위원
- 2008. 09 - 2008. 12 :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외래강사(겸임)
- 2009. 03 - 현재 : 동양대학교 교수
- 2013.03.01-현재 : 예천군 향토문화유산 보호위원
- 2013.08.22-현재 :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(동산분과)
- 연구성과
- 2001, 고대의 철제농구에 대한 연구 -김해․부산 지역을 중심으로, 석사학위논문.
- 2002, 삼한시기 주조철부의 유통양상에 대한 검토, 『영남고고학』31.
- 2003, 선사·고대 논의 관개시설에 대한 검토, 『호남고고학보』18.
- 2004, 고대의 판상철부에 대한 검토, 『한국고고학보』53.
- 2004, 선사·고대 논의 발굴조사 사례 검토, 『발굴사례연구논문집』창간호.
- 2005, 청동기시대 영남지역의 환경과 생업, 『영남의 청동기시대 문화』.
- 2005, 고고자료로 본 고대의 농경, 『선사․고대의 생업경제』.
- 2005, 수렵함정과 사냥법에 대한 검토, 『호남고고학보』22.
- 2006, 선사 ·고대의 경작유구에 대한 검토,『석헌 정징원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』.
- 2006, 韓國における陷し穴と狩獵法の檢討, 『考古學硏究』53-1.
- 2007, 韓半島南部地方の先史時代農耕, 『繩文時代から彌生時代へ』.
- 2007, 울산지역의 고대제철기술 검토, 『울산학연구』2.
- 2008, 선사 ·고대의 농구조합과 생산력의 변화, 『영남고고학』47.
- 2008, 청동기시대의 수렵과 채집, 『한국청동기학보』3.
- 2009, 선사․고대 농구의 소유형태 검토, 『한국상고사학보』64.
- 2009, 청동기시대 농경의 확산과 사회변화에 대한 시론, 『영남학』15.
- 2010, 영남 지역의 원시․고대 농경 연구, 박사학위논문.
- 2011. 원시고대의 목제 절굿공이 검토, 『호남고고학보』38.
- 2011. 원시고대 보 시설의 조사방법과 구조복원에 대한시른,『야외고고학』11.(공저)
- 2012, 농기구와 농경, 『농업의 고고학』.
- 2013, 고대 따비형 철기의 용도 재검토, 『한국상고사학보』79.
- 2014, 신라의 생업, 『신라고고학개론』 중앙문화재연구원 학술총서16, 진인진
- 2015, 고대의 철기 소재설 재검토, 『우행 이상길 교수 추모논문집』, 진인진
황종규 교수
최종학력행정학 박사(영남대학교, 1997. 2.)
전공행정학
Tel031)839-9085
연구실동두천캠퍼스 연구동 409호
이메일jkhwang@dyu.ac.kr
- 학력사항
- 영남대학교 정행대학 행정학과(행정학사)
- 영남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(행정학 석사)
- 영남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(행정학 박사)
- 연구분야(관심분야)
- 지방자치, 지역격차, 지역정책 및 재생, 복지정책
- 주요경력
- 2002 – 현재 : 동양대학교 교수
- 2003 – 2004 :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장
- 2005 – 2007 : 행정자치부 정부혁신평가단 위원
- 2006 - 2007 : 기획예산처 공공기관혁신실적평가 위원
- 2007 – 2008 :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
- 2007 – 2009 :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신활력 사업 자문위원
- 2007 : 행정자치부 지방행정혁신평가 위원
- 2008 – 2012 : 경북북부혁신협의회 의장
- 2011 - 2016 : 동양대학교 부총장
- 2012 – 2019 : 지방분권운동대구경북본부 공동대표
- 2013 – 2014 : (사)대한지방자치학회 회장
- 2014 – 2016 : 기획재정부 공공기관경영평가단 위원
- 2014 : 행정자치부 주민자치회 컨설팅 위원
- 2014 – 2016 : 경상북도 도시계획위원회 위원
- 2014 – 2015 : 한국지역정책학회 이사
- 2016 – 2017 : University of Sheffield, UK, Visiting scholar
- 2016 – 현재 : 경상북도 지방재정투자심의위원회 위원장
- 2018 - 2020 : 한국교육학술정보원(KERIS) 감사
- 2018 : 기획재정부 공기업경영평가단 위원
- 2018 – 현재 : 농림축산식품부 신활력플러스 사업 중앙계획단위원
- 2018 – 현재 :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정책기획평가 전문위원
- 2018 – 현재 : 경상북도 이웃사촌시범마을추진특별위원회 위원장
- 2018 – 현재 : 의성군도시재생지원센터장
- 2019. :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위원회 평가지원단 위원
- 연구논문 및 저서
- 황종규 외 14인 공저(2021). <GDP너머 국민총행복>, 한겨레출판
- 황종규 외 3인 공저(2021). <균형발전·지역혁신 해외사례>, 한국산업기술진흥원
- 황종규·이명숙(2008). 지역축제의 문화정치적 특성에 관한 연구, <한국지방자치연구>, 10(1): 95-118
- 황종규·서상현(2007). 분권교부세와 지방정부 복지지출의 변화분석, <한국지방자치연구>, 9(2): 101-122
- 황종규·노인만(2007). 한국 행정학계의 NGO 개념 인식에 관한 연구-학회지 게재 논문 내용분석을 중심으로, <한국행정논집>, 19(3): 773-802
- 황종규·노인만(2005). 지방정부 사회단체보조금결정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:경북북부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, <한국지방자치학회보>, 17(2): 117-136
- 황종규(2005). 기초의회 예산심의 행태에 관한 연구-부천시와 영주시의 사례(1991년-2005년)를 중심으로, <한국행정학보>, 39(3): 159-179
- 황종규·노인만(2005). 지방정부 비영리조직 재정지원에 관한 실증적 연구, <한국행정논집>, 17(3): 833-856
- 황종규(2005). 지방정부 복지효율성 격차에 관한 비교연구: 경상북도 23개 시군을 중심으로, <한국사회와 행정연구>, 16(2): 299-320
- 황종규(2005). 지방의회 예산심의 영향요인으로서 학습효과 분석: 중소도시 기초의회 사례를 중심으로 <한국행정학보>, 39(4) : 136-155
- 황종규·엄홍석·이명숙(2005). 지역축제 방문자 만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: 풍기인삼축제를 중심으로, <한국행정논집>, 17(2): 313-337
- 황종규(1997). 한국 국가의 성격과 복지지출의 변화에 관한 연구, <한국행정논집>, 9(1): 119-142
- 박광국·황종규(1994). 지방의회 예산결정과정에서 지방의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-경상북도의회를 중심으로, <한국행정학보>, 241-262
- 연구과제
- 경북북부유교문화관광개발계획(1998, 경북북부행정협의회)
- 인삼복합단지조성 기본계획(2002, 경상북도)
- 백두대간 2020 프로젝트(2007, 경상북도 새경북기획단)
- 지역발전비전구상-경상북도편(2007, 국가균형발전위원회)
- 백두대간 산림테라피단지조성 연구(2008, 영주시)
- 영주시장기발전계획(2009, 영주시)
- 봉화군·영주시 기초생활권 발전계획(2010, 봉화군·영주시)
- 중부내륙중심권 지역발전전략(2010, 한국농촌경제연구원)
- 내륙초광역개발 모델사업 발굴연구(2011,국토교통부)
- 민선7기 의성비전 및 중장기 발전계획(2017, 의성군)
- 주민주도 행복마을자치 기본계획(2019, 의성군)
- 의성군지역사회활성화계획(2021, 의성군)
- 국가균형발전대상 공공기관 평가지표 개발연구(2021,국가균형발전위원회)
- 포상
- 대통령 표창 (2007)
성형미 교수
최종학력이학 박사(일본 富山대학/2001. 09)
전공고고지자기학
Tel031)839-9086
연구실동두천캠퍼스 교수연구동 410호
이메일hyongmis@dyu.ac.kr
- 학력사항
- 부산대학교 인문대학 고고학과(문학사)
- 일본 島根대학 이학연구과(이학석사)
- 일본 富山대학 이공학연구과(이학박사)
- 연구분야(관심분야)
- 고고학, 문화재학, 고고자료 분석 및 연대측정
- 주요경력
- 2005. 09 ~ 현재 : 동양대학교 교수
- 2009. 07 ~ 2012. 01 : 동양대학교 문화재발굴보존학과 학과장
- 2013. 05 ~ 2017. 12 : 동양대학교 박물관장
- 2017. 12 ~ 2020. 06 : 동양대학교 교무처장
- *영주시 인사위원, 도시계획위원, 보조금심의위원, 정책자문위원 등
- *소수박물관 · 예천박물관 · 상주박물관 운영위원 등
- *학예연구직 공무원 시험문제출제위원 및 면접위원 등
- *한국상고사학회 편집위원장 및 연구이사, 한국고고학회 편집위원 및 지역이사, 중앙고고연구 편집위원 등
- 2003. 12 ~ 2005. 08 : 한신대학교 학술원 선임연구원
- 2003. 07 ~ 2005. 05 : 부산대학교 박물관 특별연구원
- 1994. 08 ~ 1995. 09 : 국립경주박물관 연구원
- 1993. 03 ~ 1994. 07 :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
- 연구성과
- 성형미(2000) 일본과 한국의 고대에 있어서 지자기영년변화의 비교,『富山大學연구연보』25.(일본)
- 성형미(2000)한국에 있어서 고고지자기 변동의 측정과 고고학적 응용,『고고학이 찾은 선사와 가야』,
- 성형미(2000) 한국의 고고지자기변도에 관학 연구와 그에 대한 고고학적 응용, 『고고학이 자연과학』39.(일본)
- 성형미(2002) 한국에 있어서 지자기영년변화의 측정, 『제4기 학회지』16-2.
- 성형미(2003) 고고학에서 이용 가능한 考古地磁氣 분석 『기전고고』3.
- 성형미(2005) 한국고고학 편년연구를 위한 고고지자기학의 기본원리 및 적용, 『한국고고학보』55.
- 성형미(2006) 과학적 연대측정법의 진전과 과제, 『한국선사고고학보』12.
- 성형미(2006) 고고지자기 데이터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주의와 노력, 『석헌 정징원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』.
- 성형미(2006) 측구부탄요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,『영남고고학』39.
- 성형미(2008) 충청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,『문화재』41.
- 성형미(2009) 횡성군 공근면 문화마을 조사사업부지내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,『강원고고학보』12.13.
- 성형미(2009) 고고지자기 연대측정법의 연대값과 오차범위에 대한 이해,『부산대학교 고고학과 20주년 기념논문집』
- 성형미(2011) 삼가마와 회가마의 고고지자기연대,『보존과학회지』27-3
- 성형미(2012) 대구 부인사 유적 소토층의 고고지자기 연대,『보존과학회지』28-3
- 성형미(2012) 고고지자연대측정법의 신조류,『움직이는 세상, 움직여야하는 고고학』, 중앙문화연구원 학술총서7(공저)
- 성형미(2013)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고고지자기 변동, 『보존과학회지』 29-3.
- 성형미(2013) 삼국시대 토기가마의 고고지자기 연대, 『고고광장』 13.
- 성형미(2015) 강원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기학적 연구, 『한국 상고사학보』 87.
- 성형미(2015) 강진 삼흥리 가마 소토시료의 고고지자기 연대측정, 『보존과학회지』 31-1.
- 성형미(2016) 경기지역 고려시대 기와가마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, 『보존과학회지』 32-1.
- 성형미(2017) 제주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, 『보존과학회지』 33-3.
- 연구과제
- 남양주 진접선 차량기지 공사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서울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용인 포곡 스마트물류단지 사업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국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부여 동남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성문화재연구원, 2021)
- 양주 장흥-광적 국지도 건설공사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수도문물연구원, 2021)
- 안성 공도읍 용두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나라문화연구원, 2021)
- 대구 금호 워터폴리스산업단지 조성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영남문화재연구원, 2021)
- 경산 화장품 특화단지 조성사업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천년문화재연구원, 2021)
- 영월 광전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국문화재재단, 2021)
- 의정부 신곡동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수도문물연구원, 2021)
- 새만금-전주간 고속도로 건설공사구간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반도문화재연구원, 2021)
- 평택 도시계획시설 결정사업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양문화재연구원, 2021)
- 경주 배동 경주남산일원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계림문화재연구원, 2021)
- 의령 미래교육 테마파크 조성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삼강문화재연구원, 2021)
- 김제 월승리 벽골제지구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전라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서부내륙고속도로 건설공사구간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서울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횡성 궁천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국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영천 하이테크파크 진입도로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통일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나주 송월동 공동주택 건설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영해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대구 중동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삼한문화재연구원, 2021)
- 부여 쌍북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국문화재재단, 2021)
- 평택 지제동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서경문화재연구원, 2021)
- 양산 소토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국문화재재단, 2021)
- 대전 학하동 민간임대주택 조성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얼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예산 서부내륙고속도로 건설공사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국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상주 두드림 시립도서관 건립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미래문화재연구원, 2021)
- 익산 20-전-육-27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조선문화유산연구원, 2021)
- 창원 사파지구 도시개발사업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우리문화재연구원, 2022)
- 익산 왕궁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, 2022)
- 울산 달천동 모바일테크밸리부지 내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가람문화재연구원, 2022)
- 세종 용호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삼한문화재연구원, 2022)
- 홍천 송정리 유적의 고고지자기 분석(한성문화재연구원, 2022) 등
- *고고지자기연대측정 및 분석과 관련한 연구 과제를 매년 약 30건 이상 수행
